이번 포스팅에서는 라즈베리파이4를 구동시킬 OS인 Raspbian을 설치해보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공식사이트(raspberrypi.org/downloads/)에서 라즈베리파이에 OS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NOOBS (New Out Of the Box Software) 를 이용해서 OS 설치하기
2. OS Image를 다운로드해서 SDcard를 이용해 보드에 OS 설치하기
이 중에서 저는 2번 방법으로 제가 가지고 있던 SDcard와 공식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OS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라즈비안을설치하기 위한 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3개의 라즈비안 이미지들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라즈비안 이미지 다운 받기
GUI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두번째 이미지인 Raspbian Buster with desktop을 다운받도록하겠습니다. 토렌트를 이용하셔도 ZIP으로 다운받으셔도 상관없습니다.
이제 다운받은 이미지를 SDcard에 씌우기 위해서 Etcher라는 툴을 이용해 보겠습니다.
Etcher는 iso, img와 같은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압축해서 USB나 SDcard를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여러가지 툴이 있겠지만 클릭 몇번으로 간단하게 이미지 파일로 매체를 만들 수 있어서 사용합니다.
Etcher 공식홈페이지(balena.io/etcher/)로 접속하게되면 바로 첫페이지에서 간단하게 Etcher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Download for Windows 버튼을 누르셔서 etcher를 다운 받으세요. OS에 차이가 있다면 다른 옵션도 있습니다.
Etcher를 실행해서 왼쪽에서는 다운받은 이미지를 선택해주시고 가운데에서 저장할 SDcard(또는 다른 매체)를 선택하고 오른쪽의 Flash!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작업이 시작됩니다.
작업이 모두 완료됬다면 이제 SDcard를 라즈베리파이4에 꽂고 부팅을 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USB, LAN 포트가 있는 반대편에 SDcard 꽂는 곳이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꽂고 라즈베리파이 보드에 전원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부팅을 시작합니다.
부팅이 시작되면 라즈베리파이 로고와 함께 과정이 진행되고 Buster Desktop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서 올라옵니다.
정상적으로 부팅됬다면 USB 연결을 통해서 바로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실 수 있게됩니다.
이 때, LAN 포트를 이용해서 유선연결을 하셨다면 바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지만 무선 Wifi 연결은 자동으로 잡히지 않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몇몇 간단한 설정들을 통해서 언어, Wifi 연결등 기본 환경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IOT_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4]라즈베리파이4 SSH 접속 설정, raspi-config (0) | 2021.02.28 |
---|---|
[라즈베리파이4]scrot 명령어로 라즈베리파이/리눅스 화면캡쳐 하기 (0) | 2021.02.28 |
[라즈베리파이4] 라즈비안(Raspbian) 설치 후 기본 설정 / raspi-confi (0) | 2021.01.08 |
[라즈베리파이4]scrot을 이용한 화면캡쳐 (0) | 2021.01.07 |
[라즈베리파이4] 쿨러 케이스 RBP-016 조립 과정 (0) | 2021.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