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Storage_스토리지

[Storage]JBOD 와 RAID0 / JBOD 와 RAID0 의 차이

by 무브영/movewoo0 2024. 9. 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지를 구성하는 방법 중 RAID0와 JBOD 구성의 차이를 씁니다. 

 


 

일반적으로 스토리지 구성을 할 때,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위해 RAID1을 통한 디스크 복제 또는 RAID5 이상의 고가용성 구성 수준으로 운영간의 위험성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가 아니고 안정성이 중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는 디스크/스토리지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리스크가 있지만 처리속도를 올리거나 구성의 복잡도를 낮추는 구성을 택하곤 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디스크 구성이 RAID0 또는 JBOD 인데 사실 이 두가지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왕왕 있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는 차원에서 한번 정리해봅니다. 

 

 

 


 

1. JBOD

JBOD(Just a Bunch Of Disk) 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디스크 뭉치, 덩어리 라는 뜻입니다. 

물리 디스크 2개 이상의 갯수를 하나의 논리디스크처럼 만들어 주는 형태이며 spanning 이라고도 합니다.

정말 단순하게 여러 디스크를 순차적으로 이어서 용량을 붙여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디스크1(256GB), 디스크2(512GB), 디스크3(1TB) 이 있을 때, JBOD 로 구성된 디스크의 전체 용량은

단순하게 (256GB + 512GB + 1,024GB = 1,792GB) 이며, 앞의 256GB 디스크 부터 차례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갑니다.  

 

데이터를 디스크1에 기록하다가 꽉차면 디스크2로, 그 다음은 디스크3로 가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각 디스크에 동시에 액세스가 일어나는 형태가 아니므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병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기록작업에서의 속도 이점이 전혀없습니다. 

 

만약 디스크 중에 한개가 결함(fault)이 발생해도 전체 볼륨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내결함성이 제공되지않습니다..

결국 정말 장애에 관계없고 단순히 용량을 늘리는 용도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구성입니다. 


 

2. RAID0

RAID 0은 여러 개의 디스크를 결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데이터는 각 디스크에 스트라이핑(Striping)되어 병렬로 저장되며, 모든 디스크의 용량이 합쳐져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나타납니다.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 디스크로 묶어서 데이터를 각 디스크에 병렬로 처리하기에 디스크를 1개 사용할 때 보다 기록작업의 속도에서 성능향상이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256GB, 512GB, 1TB 디스크가 RAID 0으로 구성이 됬을 때, 위와 같이 구성됩니다. 

 

우선 각 디스크의 크기와 상관없이 가장 작은 디스크의 사이즈에 맞춰서 구성됩니다.

3개의 디스크 중에서는 256GB 크기의 디스크에 맞게 다른 디스크도 각 용량에서 256GB의 용량만 사용합니다. 

총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 용량은 (256GB×3=768GB) 으로 총 7입니다.

결국 남은 용량은 디스크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진다는 점에서 완전히 동일한 디스크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 비용/효율적 손실이 발생합니다. 

 

RAID 0은 여러 개의 디스크를 결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데이터는 각 디스크에 스트라이핑(Striping)되어 병렬로 저장되며, 모든 디스크의 용량이 합쳐져 하나의 논리적 볼륨으로 나타납니다.

RAID 0의 주요 장점은 읽기/쓰기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지만, 하나의 디스크라도 고장 나면 전체 데이터가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를 무단 전재, 재배포 또는 복사를 금지합니다.

인용 시 출처와 같이 공개해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IT > Storage_스토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orage]CIFS/NFS 그리고 NAS  (0) 2021.03.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