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라즈베리파이4에 원격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VNC 설정을 합니다.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는 telnet, SSH와 같은 원격 관리 서비스입니다.
위의 두 가지가 CUI(Character User Interface)를 사용하는 반면에 VNC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지원합니다.
라즈베리파이4의 VNC 설정은 raspi-config 또는 GUI환경에서의 환경설정으로 쉽게 설정가능합니다.
0. 라즈베리파이4에 VNC 설정하기
sudo raspi-config
위와 같이 raspi-config 툴을 실행합니다.
'5 Interfacing Options' 을 선택합니다.
'P3 VNC' 를 선택합니다.
VNC를 활성화할건지 창이 뜹니다. <YES>를 눌러줍니다.
아주 쉽게 VNC 기능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1. VNC Viewer를 통해 원격접속 하기
윈도우PC에서 라즈베리파이4에 VNC로 원격 접속을 하기 위해 VNC Viewer를 다운로드 합니다. (Real VNC Viewer 다운로드)
위와 같이 VNC Viewer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리눅스와 라즈베리파이 모두 지원한다고 명시되어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습니다.
설치파일을 받고 실행시켜서 'next' 버튼만 계속 눌러주면 알아서 설치가 완료됩니다.
VNC Vier를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창이 뜹니다
붉은 색 영역에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입력합니다.
Identity Check 창이 뜹니다. 어쨋건 연결해야하니 'Continue'를 눌러줍니다.
위와 같이 라즈베리파이의 username과 설정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OK를 누릅니다.
이렇게 VNC Viewer에 라즈베리파이4의 GUI 환경이 그대로 나오게됩니다.
창의 크기도 조절이 가능하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과 함께 SSH, VNC 연결을 통해서 CUI, GUI 환경 모두 원격접속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IT > IOT_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4]라즈비안에 도커(docker) 설치하기 (0) | 2021.03.01 |
---|---|
[라즈베리파이4]라즈베리파이4 SSH 접속 설정, raspi-config (0) | 2021.02.28 |
[라즈베리파이4]scrot 명령어로 라즈베리파이/리눅스 화면캡쳐 하기 (0) | 2021.02.28 |
[라즈베리파이4] 라즈비안(Raspbian) 설치 후 기본 설정 / raspi-confi (0) | 2021.01.08 |
[라즈베리파이4]scrot을 이용한 화면캡쳐 (0) | 2021.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