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split 함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공백으로 나누거나 또는 다른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0. split 함수
이 함수는 이름과 같이 문자열을 나누는(쪼개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
인자가 없이 함수 원형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디폴트 값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눕니다.
만약 인자로 특정 문자를 넣는다면 문자열을 그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 str.split() : 문자열 str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인자 없는 디폴트 값이 공백을 기준으로 함)
- str.split('특정 문자') : 문자열 str을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1. split 함수 사용해보기
- 공백을 기준으로 자르기 (함수 원형 사용)
위의 코드에서는 temp_str이라는 변수에 "Hello World" 의 값이 들어있습니다.
Hello와 World 사이에 공백으로 나뉘어져 있는 문자열이며,
이 문자열에 split 함수를 적용하여 나눈 것을 splited_str에 저장했을 때
이 두 변수를 print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Hello와 World 사이의 공백이 제거 되고 그 기준으로 두 개의 단어로
새로운 리스트 형태로 나뉘어 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나누기
그렇다면 이번에는 Hello 와 World 사이에 'Z' 문자를 넣고 이 'Z' 를 기준으로 나눠보는 코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위처럼 공백 대신에 'Z'를 넣었을 때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처럼 'Z' 가 사라지면서 그것을 기준으로 두 단어가 나뉘게 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를 무단 전재, 재배포 또는 복사를 금지합니다.
인용 시 출처와 같이 공개해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