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nux_리눅스

[Linux] logrotate 설정으로 리눅스 로그 관리

by 무브영/movewoo0 2022. 7. 1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logrotate로 리눅스의 로그를 관리하는 기본 방법, 설정에 대해 씁니다.

 

 

 


 

0. Logrotate 기본 설정 

Logrotate의 기본 설정 위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Logrotate 데몬 위치: /usr/bin/logrotate

- 설정 파일: /etc/logrotate.conf

/etc/logrotate.conf

 

- 설정 app의 rotate 설정 경로: /etc/logrotate.d/

 

- 데몬 관리 log에 대한 rotate 상태 기록: /var/lib/logrotate/logrotate.status

 


 

1. Logrotate 설정 예시(keystone.log 사용)

/etc/logrotate.d/ 경로에 테스트용 파일을 생성(testrotate) 을 해봅니다.

 

 

위에 사용한 옵션들은

 

rotate 100: 로그 파일의 갯수를 100개로 유지(100개가 넘어가면 오래된 파일부터 삭제)
create: 원본 파일이 rotate 되고 원본 파일명으로 신규 파일이 생성(비활성화 nocreate)
daily: 일단위로 rotate (weekly, monthly, hourly 등 원하는 rotate 기간에 따라 설정)
missingok: 로그 파일이 없는 경우에도 에러 없이 다음으로 넘어감
dateext: 지정한 dateformat 과 같이 날짜 형태의 값으로 확장자를 생성
dateformat: dateext 옵션과 함께 사용, 로그 파일이 rotate 될 때, 어떤 형태로 확장자를 생성할지 설정(testrotate.log -> testrorate.log-2022-07-18_00)
maxage 14: 14일 이상이 지난 로그 파일을 삭제
maxsize 10M : 10M 이상이 된 로그 파일을 설정된 기간 조건과 관계없이 rotate
notifempty: 로그 내용이 없으면 rotate 하지 않음
ifempty: 로그 내용이 없어도 rotate
compress: rotate 되는 로그파일 gzip 압축

 


 

 

본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를 무단 전재, 재배포 또는 복사를 금지합니다.

인용 시 출처와 같이 공개해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