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Window 의 가상화 기능인 Hyper-V를 Window 10 Home edition 에서 활성화하는 법에 대해 씁니다.
1. Hyper-V
Hyper-V는 Microsoft Window의 가상화 기능입니다. 기존에 Window Server 용 OS에서 사용할 수 있던 것을 Window10에 Hyper-V 기능을 추가하면서 해당 버전 window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Window OS 에디션들에서 사용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Hyper-V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Professional, Enterprise 버전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Home edition에서는 원칙적으로는 설치가 불가능 합니다.
그렇지만 일부 배치파일을 이용하여 Home Edition에서도 Hyper-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현재 PC가 Hyper-V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행(Window KEY + R) 에서 cmd 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systeminfo 명령을 입력하여 Hyper-V 요구사항들을 확인합니다.
프롬프트에서 systeminfo를 입력하면 'Hyper-V 요구 사항' 에서 네 가지의 요구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옵션은 모두 '예'를 나타내겠지만 가상화 사용은 비활성화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네는 PC를 시작할 떄 나타나는 BIOS 옵션에서 가상화(Virtualization) 옵션을 Enable 하면 되겠습니다.
2. Window 10 Home 에서 Hyper-V 활성화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여 bat 파일을 만들어 실행할 것입니다.
파일 이름은 알아보기 쉽게 hyper-install.bat 으로 생성하고 아래 코드를 복사하여 저장합니다.
메모장을 열어서 복사하면 됩니다.
pushd "%~dp0"
dir /b %SystemRoot%\servicing\Packages\*Hyper-V*.mum > hyper-v.txt
for /f %%i in ('findstr /i . hyper-v.txt 2^>nul') do dism /online /norestart /add-package:"%SystemRoot%\servicing\Packages\%%i"
del hyper-v.txt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Hyper-V -All /LimitAccess /ALL
pause
위와 같이 파일을 저장하면 bat 확장자 떄문에 batch 파일 형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생성됩니다.
그렇다면 해당 파일을 우클릭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파일이 실행될 수 있게합니다.
파일을 실행하면 이미지 관련 패키지 업데이트 작업들을 진행한 후 PC를 다시 시작하겠냐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변경된 적용하기 위해 Y를 눌러서 재부팅합니다.
재부팅한 이후에 실행을 통해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메뉴로 들어가 확인해보면
Hyper-V 기능이 추가되있고 활성화 되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Hyper-V 관리자' 를 검색하여 실행하면 Hyper-V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 Server_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 Telnet] window10에서 Telnet(텔넷) 활성화, 사용하기 (0) | 2023.11.13 |
---|---|
[virtualbox 오류 / 가상화] Virtualbox 오류 해결 방법 - VERR_NEM_VM_CREATE_FAILED / Virtualbox 가상화 기능 충돌 (0) | 2023.08.23 |
[서버 / 메모리] DDR 메모리와 DIMM은 무엇인가?? DDR과 DIMM의 차이 (0) | 2023.05.15 |
[서버] 캐시 버퍼의 write through 방식과 wirte back 방식의 차이 (0) | 2023.05.11 |
[Server] Hangup이란? / 대처법 (0) | 2021.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