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Server_서버15 [가상화 / window] Window 10 Home edition 에서 Hyper-V 활성화하기 / 윈도우 가상화 기능 켜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Window 의 가상화 기능인 Hyper-V를 Window 10 Home edition 에서 활성화하는 법에 대해 씁니다. 1. Hyper-V Hyper-V는 Microsoft Window의 가상화 기능입니다. 기존에 Window Server 용 OS에서 사용할 수 있던 것을 Window10에 Hyper-V 기능을 추가하면서 해당 버전 window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Window OS 에디션들에서 사용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Hyper-V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Professional, Enterprise 버전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Home edition에서는 원칙적으로는 설치가 불가능 합니다. 그렇지만 일부 배치파일을 이용하여 Home Ed.. 2023. 8. 22. [서버 / 메모리] DDR 메모리와 DIMM은 무엇인가?? DDR과 DIMM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DDR 메모리와 DIMM이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씁니다. DDR 메모리 우리가 흔히 메모리를 검색하면 'DDR 메모리' 라는 단어를 듣게 된다. 그리고 그 DDR이라는 단어 뒤에 숫자까지 붙어 DDR3, DDR4, DDR5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DDR은 'Double Data Rate' 의 약자로 한참 예전에 쓰이던 방식의 RAM에서 데이터 전송량을 2배(Double)로 더 빠르게 늘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DDR 메모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개선이 되어왔는데 가장 흔히들 쓰는 메모리가 DDR3 또는 DDR4 일 것이다. 뒤의 숫자들이 커질수록 성능(동작 속도)은 2배씩 향상되는데 DDR1 ---> DDR2 ---> DDR3 -.. 2023. 5. 15. [서버] 캐시 버퍼의 write through 방식과 wirte back 방식의 차이 캐시 메모리는 보통 속도 차이가 나는 장치 사이의 빠르게 읽기 동작을 돕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알려져있다. 그렇지만 캐시는 읽기 명령에 추가로 쓰기 명령을 수행할 때도 사용이 된다. 위의 흐름도에서 'Write Buffer' 라는 장치를 두고 쓰기 성능을 향상시킨 시스템이 있는데, Write buffer는 CPU가 쓰기 명령 수행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Write buffer를 이용하여 쓰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 방식 두가지가 'write through' 방식과 'write back' 방식이다. 1. Write Through 방식 CPU의 쓰기 처리 시 캐시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해당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억장치에도 쓰는 방식을 지원하는 방식. 이 방식은 캐.. 2023. 5. 11. [Server] Hangup이란? / 대처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의 hangup 현상과 대처방안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해당 경우들은 제가 알고 있는 경우들이며 다른 상황도 많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알게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0. Hang up Hang UP은 통상적으로 서버가 실행은 되고 있지만, 어떤 요청 시에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버에서 무엇을 입력해도 안먹히고 화면도 안나오지만 서버자체는 가동되고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경험상 실제로 Hang이 걸렸을 때, 서버 인스턴스에서 키보드 입력도 안되고 화면도 멈춤상태이지만 인스턴스에 올라가 있는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Hang up의 종류 1). 통상적인 Hang up 현상 여러 통상적인 Hang up.. 2021. 3. 9.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