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177

[Chat GPT] Chat GPT 가입과 한글로 사용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t GPT를 가입하고 이용하는 법과 이를 한글로 사용하는 방법을 씁니다. Chat GPT 가입 방법 Chat GPT를 가입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의 Chat GPT 사이트에 접속하여 'Sign up' 을 클릭합니다. https://chat.openai.com/ 계정은 구글, MS 계정이나 원하는 이메일로 가입합니다. 저는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기를 선택했는데요. 이 경우는 이름과 번호를 입력하는 창을 볼 수 있습니다. 입력된 연락처로 문자 코드가 전송되는데 그 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코드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시면 가입이 완료됩니다. Chat GPT 사용방법 바로 사용을 해보겠습니다. 아래의 'Send a message' 창에 원하는 메세지를 입력하면 바로 Chat GPT가 .. 2023. 4. 5.
[Linux / netstat] netstat 명령어로 리눅스 포트를 사용중인 프로세스 확인하기 , Ubuntu 20.04 netstat 사용 리눅스에서는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해서 open 상태인 포트와 연동된 프로그램, PID(Process ID)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테스트 환경으로 사용중인 Ubuntu 20.04 리눅스 환경에서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니 기본프로그램에서 빠져있는 걸 확인하여 설치하여 사용하게 됬습니다. 처음 알게된 사실이네요. apt install net-tools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해서 network 관련된 명령어들과 netstat을 설치해줍니다. netstat 명령어의 옵션을 보면 여러가지 옵션으로 tcp/udp를 지정하거나 프로그램의 이름을 보거나 특정 조건의 포트만을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netstat -tulpn 보통 tcp/udp로 열려있는(LISTEN) 포트에 바인딩.. 2023. 2. 19.
[Linux / 디스크] 리눅스 df, du 명령어의 차이와 사용법 df와 du 모두 리눅스에서 디스크 관련한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지만 두 가지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에선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df는 시스템 전체의 사용 가능량 공간을 확인하는 명령어라면 du는 특정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아래의 설명들로 이해해 봅니다. 1. df 명령어(디스크의 여유 공간 확인 / disk free) df 명령어는 현재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 디스크(mount)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결과로 파일시스템 / 디스크 공간 크기 / 사용량(Used) / 여유공간(Available) / 사용률(%) / 마운트지점 순으로 보여줍니다. 여기선 mount된 USB메모리나 SD카드와 같은 저장공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른 명령어들과 마찬가지로 d.. 2023. 2. 14.
[Linux / dd] 리눅스 dd 명령어로 I/O 성능 테스트, 리눅스 읽기/쓰기 성능 테스트 하기 [Linux / dd] 리눅스 dd 명령어로 I/O 성능 테스트, 리눅스 읽기/쓰기 성능 테스트 하기 1. dd 명령어 dd 명령어는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에서 블록 단위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변환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아래의 dd 명령어의 옵션들을 보면 conv와 같이 변환할 형식이나 count 같이 블록 단위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dd 명령어는 디스크의 I/O 속도를 측정할 때, 디스크가 가진 읽기/쓰기 성능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dd 명령어를 이용하여 I/O 성능 측정 df -h 로 현재 파일 입출력을 확인할 위치를 확인합니다. 현재 루트 디렉토리 '/'로 사용하고 있는 /dev/mapper/ubuntu--vg-ubuntu--lv 에서 진행하겠습니다. (V.. 2023. 2.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