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176

[GPU] GPU 부하테스트 / 리눅스 gpu-burn을 사용한 GPU 부하테스트 진행하기 GPU 부하테스트 GPU 하드웨어를 도입했을 때 해당 GPU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최대 성능으로 작동했을 때 문제는 없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부하테스트(stress 테스트)를 실행한다. 리눅스 OS 서버환경에서 GPU의 부하테스트를 진행할 때 gpu-burn의 툴을 사용하여 진행한다. gpu-burn은 부하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gpu 온도 정보를 출력해준다. $ git clone https://github.com/wilicc/gpu-burn $ cd gpu-burn $ make $ ./gpu-burn 위와 같이 gpu-burn 의 git repo를 복제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쉽게 실행 가능하다. 단 gpu-burn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경의 nvidia driver와 nvcc가 필요.. 2024. 3. 27.
[Linux / Logstash]Logstash 버전확인 방법 Logstash 버전 확인 명령어 /usr/share/logstash/bin 디렉토리로 이동 logstash -V 명령어로 확인 cd /usr/share/logstash/bin ./logstash -V 본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를 무단 전재, 재배포 또는 복사를 금지합니다. 인용 시 출처와 같이 공개해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또는 공감 부탁드립니다! 2024. 3. 21.
[Server / hardware] C-state 란?? C-state 정리 / dell server 의 c-state C-state: 각 CPU에는 CPU가 유휴 상태(idle) 상태일 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CPU에 저전력 모드를 시작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드를 C-State 또는 C-Mode 라 함. C-state 모드들은 CPU 내부의 장치에서 클록, 전원을 차단하면 작동함. 이 클록을 차단하고 전압을 줄이거나 완전히 종료해서 중지될 때 많은 전력이 절약됨. 그러나 이 중지된 상태에서 벗어날 때 더 많은 시간이 걸림. 에너지 소모와 소요 시간의 반비례 C-state의 모드들 C-state는 C0의 단계부터 시작하며, C 뒤의 숫자가 높을 수록 더욱 CPU의 전력을 절전하는 모드. 숫자가 높을수록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하고 중지상태에서 벗어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림. C0 모드는 CPU가 100%의 효.. 2024. 3. 21.
[Linux] 리눅스의 부팅이 불가할 때, xfs_repair 리눅스 부팅 시, Emergency mode로 진입 후 정상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 발생 시, xfs_repair 명령어로 해소가능 작업순서 ‘Corruption warning’ , ‘Please unmount and run xfs_repair’ 의 메세지 확인 가능 Emergency mode 로 진입 한 후 xfs_repair /dev/(OS 설치 파티션) 명령 실행 후 재부팅 OS 정상 부팅 확인 xfs_repair xfs_repair 명령으로 XFS 파일 시스템의 검사 및 복구가 가능 xfs_repair 명령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해당 파티션/볼륨 명칭을 정확히 입력해야 함. xfs_repair 명령은 해당 장치가 마운트된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마운트를 해제.. 2024. 3.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