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파이썬함수3

[파이썬 / Python] len 함수로 문자열 데이터의 길이 구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len 함수를 이용해서 문자열 데이터의 길이 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0. len 함수 이 함수의 이름은 영어의 'Length' 에서 'len' 만 따온 '길이'를 뜻하는 함수 입니다. 문자열 데이터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 len(str) : 문자열 str의 길이를 반환(return)합니다. (공백 포함) 1. len 함수 사용해보기 위의 이미지와 같이 str1, str2 변수에 각각 "Hello", "Hello World" 의 문자열을 넣었습니다. str2는 공백이 포함된 문자열이므로 이 공백까지 포함해서 길이를 계산하는지를 보면 되겠습니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len(str1)은 5, len(str2)는 11의 값을 return하게 됩니다. 공백을 .. 2021. 5. 23.
[파이썬 / Python] split 함수로 문자열 데이터를 공백 기준 또는 다른 기준으로 나누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split 함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공백으로 나누거나 또는 다른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0. split 함수 이 함수는 이름과 같이 문자열을 나누는(쪼개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 인자가 없이 함수 원형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디폴트 값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눕니다. 만약 인자로 특정 문자를 넣는다면 문자열을 그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 str.split() : 문자열 str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인자 없는 디폴트 값이 공백을 기준으로 함) - str.split('특정 문자') : 문자열 str을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1. split 함수 사용해보기 - 공백을 기준으로 자르기 (함수 원형 사용) 위의 코드에서.. 2021. 5. 19.
[파이썬 / Python] isalpha, isdigit 함수로 문자 자료형 체크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isalpha, isdigit 함수를 통해서 문자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0. isalpha, isdigit 이 두 함수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문자가 알파벳형(문자)인지, 숫자인지를 알 수 있게 해줍니다. - isalpha() : 문자이면 True, 아니면 False 리턴 - isdigit() : 숫자이면 True, 아니면 False 리턴 1. isalpha, isdigit 사용해보기 코드에서 위의 세줄은 isalpha 함수를 사용했고 아래의 세줄은 isdigit 함수를 사용하여 자료형을 판단해봤습니다. 'shin' 과 '100'의 경우에는 분명하게 각각 문자, 숫자임을 알 수 있지만 특이하게 '111isnotdigit'를 보시면 양쪽 함.. 2021. 4.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