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176

[Linux / initramfs] initramfs 란??? / 리눅스 설치 중 initramfs로 빠지는 이유와 상황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의 initramfs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initramfs로 빠지는 상황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씁니다.  1. initramfs 란??initramfs는 "initial RAM filesystem"의 약자로써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itramfs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커널이 디스크의 루트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전에 필요한 초기 파일 시스템입니다. 이 초기 파일 시스템에는 부팅에 필요한 기본 리눅스 명령어들과 커널 모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initramfs의 역할과 동작커널 로드: 시스템이 부팅되면 부트로더(예: GRUB)가 커널과 함께 initramfs 이미지를 메모리에 로드합니다.초기 환경 설정: 커널이 실행되면서.. 2024. 9. 3.
[Storage]JBOD 와 RAID0 / JBOD 와 RAID0 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지를 구성하는 방법 중 RAID0와 JBOD 구성의 차이를 씁니다.   일반적으로 스토리지 구성을 할 때,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위해 RAID1을 통한 디스크 복제 또는 RAID5 이상의 고가용성 구성 수준으로 운영간의 위험성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가 아니고 안정성이 중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는 디스크/스토리지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리스크가 있지만 처리속도를 올리거나 구성의 복잡도를 낮추는 구성을 택하곤 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디스크 구성이 RAID0 또는 JBOD 인데 사실 이 두가지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왕왕 있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는 차원에서 한번 정리해봅니다.     1. JBODJBOD(Just a Bunch Of Disk) 라.. 2024. 9. 1.
[Linux] 리눅스 CPU 정보 확인 / 리눅스 CPU 코어 갯수 확인 명령어 / 리눅스 코어 계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CPU 코어들을 확인하고 코어의 갯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씁니다.    1. CPU 정보, CPU 코어 전체 확인하기 리눅스 시스템에서 장학된 물리 CPU에 대한 정보와 코어에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하려면 dmidecode 명령어 또는 cpuinfo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PC/서버에 장착된 CPU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midecode -t processor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CPU의 ID와 버전, 세대, Flag들의 정보까지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Socket Designation: Proc 1' 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서버에는 CPU가 2개 장착되어있고 명령어 실.. 2024. 8. 8.
[Linux] 리눅스 서버 메모리 사용량 확인 / 메모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 찾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 사용량 /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프로세스를 찾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1. 메모리 사용 순위 간단하게 확인ps -ef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작동중인 프로세스들을 나열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에 옵션을 추가하여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을 시킬 수 있습니다.  ps -ef --sort -rss  간단하게 가장 많이 메모리를 사용중인 프로세스들을 알 수 있는데, 모든 프로세스가 정렬되기 때문에 결과창을 보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땐 사용량이 가장 많은 프로세스 상위 10개를 아래와 같이 추려낼 수 있습니다. ps -ef --sort -rss | head -n 11 head 명령어를 덧붙여서 명령어의 결과값 상단의 특정.. 2024. 8.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