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nux22

[Linux / Memory] 메모리의 Slab 영역과 slabtop 명령어, slab 할당자(allocator)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proc/meminfo 의 내용 중에서 'Slab' 으로 표현되는 메모리 영역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0. Slab 메모리 영역 위의 사진에서 'Slab' 으로 명시되는 부분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커널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영역'입니다. 커널 역시 프로세스의 일종이기 때문에 메모리를 필요로 하고, 다른 프로세스들보다 특별한 방법으로 메모리를 할당받아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쓰이는 공간이 Slab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이 Slab에 관련된 메모리입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Slab: 메모리 영역 중 커널이 직접 사용하는 영역, Dentry cache, inode cache등 커널이 사용하는 메모리가 포함됩니다. -SReclaimable: Slab 영역 중 재.. 2021. 3. 11.
[Linux / Architecture] NUMA(Non-Uniform Memory Access) 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NUMA(Non-Uniform Memory Access)라는 메모리 아키텍쳐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0. NUMA 란? NUMA는 Non-Uniform Memory Access의 약자로써 해석하면 불균형 메모리 접근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 적용되는 메모리 접근방식이며 이전의 UMA(Uniform Memory Access)의 초창기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1. NUMA의 아키텍처(UMA 와 비교) 아래의 그림으로 UMA(Uniform Memory Access)의 작동 방식을 설명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모든 프로세서들이 CPU와 메모리 사이의 공용 BUS를 이용해서 메모리에 접근합니다.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여러 socket들이.. 2021. 3. 11.
[Linux]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다운로드 및 활성화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Windows에서 Linux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 대해 알아보고 다운로드 및 활성화를 해보겠습니다. 0.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설치 및 활성화 우리가 기존 환경을 유지하면서 리눅스를 이용할 때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습니다. VirtualBox와 같은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해 게스트 OS로써 이용하거나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해서 이용하는 등의 방법들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하이퍼바이저의 환경설정이나 VM 생성과 같은 복잡할 수 있는 과정들이 필요합니다. WSL은 이러한 과정들을 Windows 안에서 자체적으로 아주 쉽게 리눅스 환경을 구성하게 해줍니다. WSL 설치 및.. 2021. 3. 9.
[Linux/CentOS]su / su - / sudo 의 비교 및 차이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권한과 관련된 명령어인 su / su - / sudo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su / su - / sudo 우선 리눅스에서는 아래와 같은 두 주요 개념이 있습니다. 리눅스는 Multi-User System OS / 다중 유저 접속 시스템이다. 리눅스에서는 각 유저들에 대한 권한의 중요성이 높다. 리눅스에는 다중 유저 접속 시스템으로써 동시에 여러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어떤 서비스를 위한 서버의 기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각각의 유저들에 대한 권한(읽기, 쓰기, 실행 등)의 범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리눅스에서 최고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은 슈퍼 유저 / Root 입니다. Root 계정은 리눅스 상의 모든 명령을 실행.. 2021. 3.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