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nux22

[Linux] swapon / swapoff 명령어로 swap 영역 상태 확인 및 메모리 반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swapon / swapoff 명령을 사용해서 swap 영역이 현재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해당 영역을 어떻게 비우고 다시 활성화 시켜서 공간을 반환하는지의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swap 이란? 리눅스에서 swap은 컴퓨터의 메모리가 모두 사용됬을 때,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부분을 swap(파티션)이라는 예비 공간으로 사용합니다. 서버 운영중에는 이 swap 영역이 특정 Threshold를 넘어가서 이를 비워줘야 하는 상황이 간혹 생깁니다. 1. swapon 명령어 swapon 명령어는 swap으로 쓰이는 파일의 이름, 전체 크기, 사용중인 부분, 우선순위 등이 나타납니다. 아래와 같이 free 명령어로도 비슷한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 2021. 2. 15.
[Linux] test 명령어로 파일 존재 여부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test 명령을 사용해서 특정 파일이 있는지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test 명령어 리눅스에서는 파일이 존재하는 지의 경우를 확인해야 할 때가 꽤 있습니다. 쉘스크립트 상에서 특정 상태를 확인 후에 작업을 하기 위한 경우나, 어떤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에도 파일의 존재여부를 파악해야 합니다. 1. test 명령어 사용하기 ($ 와 사용) test를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test 명령줄 2. [ 명령줄 ] 첫번째는 test 명령어 뒤에 처리할 명령줄이 나오는 일반적인 명령어 형식이라 익숙합니다. 그렇지만 test 명령어는 두번째로 명시된 형식으로 사용해도 명령줄 자체에는 test 명령어가 없지만 test 명령.. 2021. 2. 8.
[Linux] sysctl 명령어로 커널 파라미터(매개변수) 설정하기, sysctl 사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sysctl 명령을 사용해서 /proc/sys 아래의 커널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sysctl 명령어 sysctl 명령어는 리눅스의 /proc/sys 하위 디렉토리의 커널 파라미터(매개변수) 값을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 커널에 있는 여러가지 설정값을 조회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해서 리눅스의 커널을 튜닝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위와 값이 sysctl 명령어의 옵션들을 보면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w / --write' 옵션에 주목해서 이를 이용해서 파라미터 값을 수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ysctl 명령어를 사용한 매개변수 값 변경 예시로 /proc/sys 아래의.. 2021. 1. 31.
[CentOS8 / Linux]리눅스 디스크 파티셔닝(Partitioning)과 파일 시스템 포맷, 마운트 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Box로 생성한 CentOS8 VM에서 간단하게 파티셔닝 작업과 파일 시스템을 올리고 이를 마운트하는 과정을 진행해보도록하겠습니다. 작업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fdisk를 사용해서 파티션을 추가 2). mkfs를 사용해서 파일 시스템으로 장치를 포맷 3).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0. 디스크 파티셔닝(Partitioning) 디스크 파티셔닝은 디스크를 '파티션(partition)'이라고 하는 여러 개의 논리 스토리지 단위로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fdisk'라는 파티션 편집기를 이용해서 파티션 생성, 삭제, 유형 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fdisk -l 위의 명령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CentOS8을 설치할 때 할당했던 40G의 디스크.. 2021. 1. 12.
728x90
반응형